본문 바로가기
법과 경제생활

국가책임의 정의와 국가책임의 판례

by 박정리 2023. 3. 27.

국가책임의 정의에 대해서 먼저 알아봅시다.

국가책임이란 국가가 자신의 행위로 인해 발생시킨 손해에 대해 법적으로 책임을 질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국가책임은 국제법, 국내법 모두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국가가 자신의 군대나 경찰 등을 통해 일반인의 인권을 침해하는 경우, 이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또한, 국가가 천재지변 등의 사유로 인해 개인의 재산을 파괴하는 경우에도 국가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가는 국제적 주체로서 국제사회와 상호작용하며, 국제법에서는 이러한 국가의 행위와 책임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국제법상 국가책임은 국가가 자신의 행위로 인해 발생시킨 손해에 대해 법적으로 책임을 질 수 있는 것을 말하며, 국제법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국제법상 국가책임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첫째는 국가의 국제법상 의무 위반으로 인한 책임이며, 둘째는 국가의 행위나 부주의로 인한 책임입니다. 국가의 국제법상 의무 위반으로 인한 책임은 국제인권법, 국제인도법, 국제인도경제법 등에서 다루어지는데, 국가가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 국제인도기구나 다른 국가가 국가책임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가가 국제적으로 약속한 일련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국가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가의 행위나 부주의로 인한 책임은 국제법상 침해행위, 실수행위,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손해를 다루며, 국가가 타국의 영토나 자원을 침해하거나, 천재지변 등의 사유로 개인의 생명, 신체, 재산 등을 파괴하는 경우에도 국가책임이 발생합니다. 국제법상 국가책임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국가책임의 내용, 범위, 시한, 증거 등을 규정하는 국제법상 규정적 국가책임, 국가의 국제법상 의무 위반에 대한 국가책임, 국가의 행위나 부주의로 인한 국가책임 등이 있습니다. 국제법상 국가책임은 국제사회의 안전과 안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국가책임에 대한 적용 범위나 내용은 국가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가책임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법적 규정을 참조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국제법상 국가책임의 판례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1. 1872년 알라바마호 중재사건(The Alabama Claims, 미국 v. 영국)

1872년 알라바마호앨라배마호 중재사건은 미국과 영국 간에 벌어진 민간상업선인 앨라배마호 사건으로 인해 발생한 국제사법 소송입니다. 이 사건은 미국이 북부 해양 블록에 대한 영국의 지원을 받은 앨라배마호와 같은 해적선들로 인해 상당한 손해를 입은 것을 이유로 영국에 대한 손해배상을 요구하였습니다. 미국은 영국이 이러한 해적선들을 조직하고 지원했음을 주장하며, 이로 인해 자국상의 손실과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영국은 자신들이 이러한 해적선들을 조직하거나 지원하지 않았다며 이를 부인하였습니다. 결국 이 문제는 국제조정을 통해 해결되었는데, 미국과 영국 간의 중재위원회에서는 영국이 이러한 해적선들의 조직과 지원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미국에 대한 손해배상을 할 것을 요구하였습니다. 이를 인정한 영국은 미국에 대한 손해배상을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 사건은 국제법 상에서 국가의 행위에 대한 책임 문제와 관련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꼽히며, 국가의 국제법상 책임에 대한 이해와 국제법상 분쟁해결 방법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사건입니다.

 

2. 2004년 팔레스타인 점령지역에서의 장벽건설의 법적 결과에 관한 권고적 의견(Legal Conseq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a Wall in the Occupied Palestine Territory, 2004년 ICJ Advisory Opinion)

2004년 팔레스타인 점령지역에서의 장벽 건설의 법적 결과에 관한 권고적 의견은 국제사법재판소(ICJ)가 발표한 의견으로,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점령지역에 건설한 분리장벽이 국제법상으로 합법적인지 여부에 대한 문제를 다룬 것입니다. ICJ는 이 문제에 대해 팔레스타인 점령지역 내에서 건설된 분리장벽이 이스라엘 정부가 보안 목적으로 건설한 것이라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이는 국제인도법, 국제인권법, 인도주의 원칙 등 국제법상의 다양한 원칙을 위반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특히 ICJ는 이러한 분리장벽이 팔레스타인인들의 인권을 침해하고, 점령지역의 영토적 무결성을 침해하며, 이스라엘의 국제법상 의무를 위반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또한 ICJ는 국제법상으로 팔레스타인 점령지역 내에서 이스라엘 정부가 인정받을 수 있는 경계선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이러한 분리장벽 건설이 팔레스타인인들의 자유와 자결권, 자유이전, 인종차별 금지 등의 국제법상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러한 ICJ의 권고적 의견은 이후 국제사회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이스라엘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분리장벽 건설을 계속해왔습니다. 그러나 이 의견은 이후 국제법 원칙에 대한 논의와 국제인권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3. 국내구제절차 완료원칙에 관한 기타 판례

국내구제절차 완료원칙은 국제법상 국가책임과 관련된 원칙 중 하나로, 국가가 국제법상의 의무를 위반했을 경우 피해자가 국내 법적 구제절차를 완료한 후 국제 법원이나 국제조약 기구에 구제를 요청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관한 기타 판례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1980년, LaGrand 사건 (Germany v. United States of America)

미국 정부가 독일 국민인 Karl-Heinz LaGrand 형제를 처형하였는데, 이는 독일과의 미국-독일 조약에 위반된 것으로 판단되어 독일 정부가 국제사법재판소(ICJ)에 구제를 요청하였습니다. 이 사건에서 ICJ는 국내구제절차 완료원칙이 국제법상의 일반원칙이라고 명시하였으며, 국제법상 국가책임에 관련하여 국내구제절차의 완료 여부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2) 2010년, Avena 사건 (Mexico v. United States of America)

미국 정부가 멕시코 국민들에 대해 국제법상의 의무를 위반하였으나, 국내 법적 구제절차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멕시코 정부가 국제사법재판소(ICJ)에 구제를 요청하였습니다. 이 사건에서 ICJ는 국내구제절차 완료원칙을 재확인하였으며, 국제법상의 국가책임을 구제받기 위해서는 국내 구제절차의 완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였습니다.

 

3) 2019년, Jurisdictional Immunities of the State 사건 (Germany v. Italy)

2019년 2월 12일, 국제사법재판소는 독일과 이탈리아 간의 Jurisdictional Immunities of the State 사건을 판결했습니다. 이 사건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이탈리아군에 의해 학살된 이탈리아국민들의 가족들이 독일 국유자산에 대한 배상을 청구한 사안입니다. 독일 정부는 법적 면에서 독일 국유자산에 대한 이탈리아국민들의 소송을 막기 위해 국가면제권 주장을 했습니다. 판결에서 국제사법재판소는 이탈리아 국민들의 소송권을 인정했으며, 국가면제권은 이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정했습니다. 이는 국가면제권이 국가들 간의 평등과 상호존중 원칙에 위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국제인권법과 인도주의 원칙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이 판결은 국가면제권이 국가 간 분쟁에서 항상 우선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국제사법재판소는 국가 간 분쟁에서 인권보호와 상호존중 원칙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며, 국가면제권의 범위에 대한 논의를 더욱 확장시켰습니다.

 

반응형